본문 바로가기
정보

[호텔신라] 주가 전망, 탈출구가 없는 면세사업, 어디까지 떨어질까

by 동키동키 2024. 8. 3.
반응형

 

안녕하세요, 동키동키입니다.
오늘은 호텔신라 종목 분석 및 주가 전망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호텔신라는 국가로부터 관련 사업권을 취득하여 외국인 방문객 및 내국인 해외출국자를 대상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TR부문(면세점), 호텔의 운영 및 여행, 레포츠, CFC 등을 하는 호텔&레저부문으로 크게 2가지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호텔신라는 코스피 150위 기업으로 7월 28일을 기준으로 시가총액 1조 9,860억원, 상장주식은 39,248,121주, 유동주식수 비율은 77.22%입니다.

 

 

기업실적을 살펴보면 2022년 코로나19로 인해 적자로 접어들고 2023년 코로나19의 여파가 완전히 개선되지 않은 한해를 보냈습니다.

 

2018년 무렵 부채비율이 132.4% 정도밖에 안되던 기업이 2022년 부채비율이 444%까지 올라간것만 보더라도 기업이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었음이 짐작이 되고 있죠.

 

영업이익의 80% 가까이가 TR 부문(면세사업)에서 나오는점을 고려할때 출입국을 하는 인원이 감소(제약)한다는건 사실상 TR 부문에선 재앙과 같은일이기 때문에 빠르게 실적이 개선되는게 당연히 어려운일이라는걸 누구나 짐작할 수 있었을겁니다.

 

다행히 길고긴 부진의 시간을 지나 2024년 1분기부턴 다시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하며 TR 부문이 만족스러운 실적 개선을 할것으로 기대됐지만, 아직 만족스러울만한 성과를 보이진 못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가 끝날 무렵, 2023년 8월경 잠깐의 주가 반등(94,000원)이 있었지만 이후 뚜렷한 실적개선이 없이 주가는 계속 우하향해 2024.7.28. 기준 50,600원까지 내려 앉았습니다. 

 

엔데믹으로 올 1분기 기준 외국인 관광객 수가 2019년의 88%선까지 회복하고, 4월 기준 인천공항 여객 수도 코로나19 이전 대비 97%까지 올라온 556만명에 달하고 있음에도 매출 개선이 쉽게 되지 않는 고질적 침체에 빠져 버리고 말았네요.

 

과연 호텔신라가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고 주가 반등에 성공할 수 있을지 향후 방안이 궁금해지는 시점입니다.

 

- 호텔신라 주가 상승 요인

① 2분기 흑자 : 면세 업계 큰손인 중국인 단체관광객 회복세가 더딘 가운데 1~2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

 

- 호텔신라 주가 하락 요인

① 객단가 감소 :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올해 5월 국내 면세점을 이용한 외국인은 82만명으로 동기 같은 기간 대비 60% 증가했지만 외국인 이용객의 객 단가는 184만원에서 120만원으로 34%이상 떨어지는 등 외국인 관광객의 소비가 큰 폭으로 감소

 

 

② 중국(유커) 여행 트렌트 변화 :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 따르면 중국인 관광객(유커)들이 과거처럼 단체로 여행을 오지 않고 개별(소수)로서 방문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

 

또한 방한 중국인 관광객 중 2030 비중은 2019년 56.2%에서 지난해 57.9%로 증가한반면 40~70대는 35%에서 31.8%로 작아짐 (한국을 찾은 중국인 가운데 35.9%는 2030여성 MZ세대로 분석)

 

이들은 한국인과 다르지 않게 한국인에게도 핫한 동네인 성수동, 한남동, 압구정동 등을 찾고 있어 쇼핑에 집중하는 경향성이 매우 적어짐(작년 1분기 대비 방문율이 성수동 863.5%, 한남동 144.1%, 압구정동 136.7%로 급증)

 

 

③ 하이난성 면세 특구 : 중국에서 내수 진작을 위해 하이난성을 면세특구로 만들고 있어 과거 한국으로 쇼핑을 오던 유커들이 이제 하이난으로 가 쇼핑을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 하이난성 면세품 매출은 전년 대비 25% 넘게 증가한 8조 3,700억원. 방문객수도 675만명으로 같은 기간 60%가량 증가함

 

④ 고(高)환율 : 달러로 가격을 책정하는 면세특성상 고환율이 계속될 경우 출국하는 내국인의 소비도 감소해 면세점을 통한 소비가 이뤄지지 않음

 

※ 이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의 글로 특정 기업에 대한 투자 및 추천이 아님을 명시하고, 이에 대한 투자 및 의사결정에 대한 책임은 모두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