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동키동키입니다!
오늘은 HPSP의 종목 분석 및 주가 전망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HPSP는 반도체 장비중 하나인 고압 수소 어닐링 반도체 장비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는 기업으로 최근까지 예스티와 특허심판 무효 소송으로 긴 시간을 보내다가, 최근 승소를 받아내며 주목받고 있는 기업 중 하나입니다.
HPSP는 코스닥 10위 기업으로 11월 2일을 기준으로 시가총액 2조 7,451억원, 상장주식은 82,934,144주, 유동주식수 비율은 55.29%입니다.
기업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까지 꾸준히 실적이 성장하고 있었지만 2024년 들어 다소 정체기에 빠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전반적인 재무상태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 회사의 가장 큰 매력이라면 바로 상당한 수준의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100원을 팔면 약 50원의 이익을 얻고 있다는 이야기이니, 수익을 얻는게 핵심인 기업의 입장에선 핵심인 부분이고, 코스닥 상장사 시가총액 상위 100개를 기준으로 영업이익률이 50%가 넘어가는 기업은 10곳이 채 되지 않을만큼 달성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봐도 무방할듯 싶습니다.
HPSP가 사실상 독점하던 고압 어닐링 장비 시장에 예스티가 도전장을 내밀어 어닐링 장비에 가격경쟁이 시작되고 결국 HPSP의 메리트가 낮아질것을 염려하던 시선이 많았는데, 최근 특허심판원에서 HPSP에 대해 승소 결론을 내리고 예스티가 청구한 권리범위 확인심판 3건도 모두 각하하면서 다시 HPSP의 기술력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 하지만 예스티도 이번 특허심판이 '기각'으로 종료된 만큼 재정비해 11월 중 다시 청구할 계획을 밝혀 이후 결과는 어떻게 될지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길게 따라다니던 꼬리표를 떨쳐냈지만 반도체 업황의 어두운 그림자로 인해 고객사들이 보수적인 장비투자를 계획하면서 HPSP의 주가도 발목이 잡힌 모습인데, 업황이 개선되어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도 숨통이 조금 트였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HPSP 주요 이슈
① TSMC : 일본 2024년, 미국/대만 2025년, 독일 2027년 전공정용으로 건설중인 팹(반도체 생산공장)이 다수 예정되어 있어 이에 따라 동사의 전공정 장비인 고압 수소 어닐링 장비 수출에 대한 기대감이 있음
* HPSP는 독점적 기술을 바탕으로 TSMC에 납품을 하고 있는 기업 중 하나임
② 중국 반도체 제조 장비 투자 :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 따르면 중국의 향후 3년간 반도체 제조 장비 투자(300mm 웨이퍼 기준)가 1천억 달러를 넘길것으로 예상
동기간 글로벌 전체 장비 투자는 약 4천억 달러로 추정하고 있는데, 중국의 투자가 현실화 된다면 글로벌 투자의 1/4가 중국에서 이뤄져 HPSP에게 희소식으로 작용
③ 미-중 갈등 2차전 : 미국이 과거 미국(국민)이 국가 안보에 위협에 되는 특정 기술(반도체, 양자컴퓨팅, AI 기술)과 관련해 중국(국민)과 거래하는것을 금지한것에 이어 최첨단 기술과 관련해 중국에 투자하려는 기업은 사전에 투자 계획을 신고하도록 함
이번 규제는 미국이 직접 중국을 견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지만 중국에 직접적인 압박을 가하기 위해 시행하는 만큼 주요 동맹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조치를 취해야 된다는 요구가 있을 수 있음
또, 미국의 대중 투자가 감소할 경우 첨단 산업 분야 설비 투자가 지연되고 성장동력도 힘을 받지 못하는 등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에도 영향을 줄것으로 예상되지만 중국으로 향하던 자본이 (아시아)대체 지역으로 우리나라를 선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이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의 글로 특정 기업에 대한 투자 및 추천이 아님을 명시하고, 이에 대한 투자 및 의사결정에 대한 책임은 모두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