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두산로보틱스] 주가 전망, 해외 판로 개척해 실적 개선 시작하나

by 동키동키 2024. 6.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동키동키입니다.
오늘은 두산로보틱스 종목 분석 및 주가 전망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두산로보틱스는 산업용 협동로봇 제조 및 솔루션 제공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2015년 4개의 협동로봇을 개발하고 2020년 6개의 모델을 추가 출시하며 협동로봇 시장에서 최대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두산로보틱스는 코스피 70위 기업으로 6월 16일을 기준으로 시가총액 6,782억원, 상장주식은 64,819,980주, 유동주식수 비율은 29.38%입니다.
 

 
두산로보틱스의 기업실적을 살펴보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꾸준하게 매출은 상승하고 있지만 아직 실속은 챙기지 못하는 적자기업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꾸준한 매출의 향상은 기대가 되지만 이에 따른 적자폭도 계속 증가하고 있어서 장기적으론 결국 회사에게 좋은 상황은 아니어 보입니다.
 

 
두산로보틱스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전체 로봇 시장 규모'가 2023년 57,372백만 달러에서 2024년 64,513달러로 시장이 커지는 등 꾸준히 연평균 10~15%씩 시장이 성장할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현재까지 적자기업인 두산로보틱스가 어느정도의 주가를 반영하고 있는건 향후 로봇 시장에서 동사의 기술력이 빛을 발할거라 기대하기 때문입니다.
 

 
(협동)로봇 시장이 초기 형성 단계임을 감안하더라도 이미 Universal Robots과 FANUC가 시장을 상당히 점유하고 있어 후발주자인 두산로보틱스가 어떤 기술로 이 기업들에게서 파이를 다시 뺏어올지는 의문이 드는건 사실입니다.
 

- 두산로보틱스 주가 상승 요인

① 가성비 : 일반적으로 협동로봇이 배치되는 현장은 '노동력 부족' 및 '인건비 상승에 따른 비용 절감'을 고민하는 상황일 확률이 높음. 이에 대해 동사는 내재화 필요성이 적은 비핵심 부품을 개념설계 후 외주제작 시켜 내재화 생산에 불필요한 비용을 최소화
* 시장 점유율 1위인  Universal Robots의 평균 판매가격이 100이라고 가정할때 동사의 동일 수준 제품 가격은 약 90% 수준에 해당
* Universal Robots의 제품을 사용하던 기업들도 제품을 변경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음
 
② 안정성 : 사람과 협업을 하는 협동로봇의 구조상 안전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 동사는 정밀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로봇 관절 구동부에 토크센서 방식 및 중력보상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 등급 중 최고 수준에 해당하는 Performance Level e등급(PL e)와 Category 4 등급의 (Cat 4) 안전성을 취득
* 타 경쟁사 대비 최고 수준의 안전 등급
 
③ 해외 채널 확대 : 해외에 적극적으로 진출하여 2018년 21개에 불과했던 세일즈 채널이 2023년 100개를 넘어섰으며, 2026년까지 219개로 채널 확장을 전망하고 있음

- 두산로보틱스 주가 하락 요인

 
① 기업실적 : 최근 3년을 포함 의미있는 실적을 내지 못하고 '기대감'만으로 주가를 유지하고 있어, 기업의 순수 목표인 '이윤을 발생시키는 것'을 계속 달성하지 못할 경우 주가 하락을 방어할 수단이 없음
* 최근 신약 미국 FDA 승인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방어되다 승인 불발로 주가가 엄청나게 떨어진 HLB를 고려해보자

반응형